쿠빙카 전차 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빙카 전차 박물관은 러시아 쿠빙카에 위치한 군사 박물관으로, 20세기 소련, 독일 및 기타 국가에서 개발하고 사용한 다양한 전차와 장갑차를 전시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비밀 장갑차 시험장이었던 쿠빙카는 냉전 시대 소련 전차 기술 개발의 중심지였으며, 50대 이상의 노획 전차 및 장갑차를 포함하여 다양한 차량을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7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우스, 카를 자주 박격포 등 희귀한 전차들을 전시하고 있다. 현재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모스크바에서 기차와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차 박물관 - 보빙턴 전차 박물관
보빙턴 전차 박물관은 영국 도싯주 보빙턴 캠프에 위치한 전차 전문 박물관으로, 제1, 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다양한 전차와 장갑차를 소장하고 있으며, 작동 가능한 티거 131 전차와 영화에 등장했던 전차들을 소장하고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다. - 러시아의 군사·전쟁 박물관 -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는 1703년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토끼섬에 건설되어 도시 주둔 기지 및 정치범 수용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역사 박물관의 일부이자 성 베드로 & 바울 대성당, 조폐국, 트루베츠코이 요새 등이 있는 주요 관광 명소이다. - 소련의 교육 - 러시아 국립도서관 (모스크바)
러시아 국립도서관은 1862년 모스크바에 설립되어 루먄체프 백작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시작, 소련 V. I. 레닌 국립도서관을 거쳐 현재 4,700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하며 도서관학 연구 및 출판을 수행한다. - 소련의 교육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는 1755년 미하일 로모노소프의 건의와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여제의 칙령으로 설립되어 러시아 혁명 이전에는 모스크바 제국 대학교로 불렸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와 함께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로, 20세기 이후 로모노소프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불리며 세계적인 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종합대학교이다.
쿠빙카 전차 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쿠빈카 전차 박물관 |
원어 명칭 | Военно-Исторический музей Бронетанкового Вооружения и Техники (러시아어) |
종류 | 군사 박물관 |
위치 | 쿠빈카, 모스크바 주, 러시아 |
좌표 | 55°33′54″N 36°42′56″E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설립 | 1972년 |
소장품 및 규모 | |
주요 소장품 | Panzerkampfwagen VIII Maus (판저캄프바겐 VIII 마우스) Karl-Gerät (카를-게레트) Object 279 (오브젝트 279) |
방문객 수 | 연간 70,000명 |
기타 정보 | |
이전 명칭 | 해당 사항 없음 |
소유주 | 해당 사항 없음 |
대중 교통 | 해당 사항 없음 |
주차 시설 | 해당 사항 없음 |
2. 역사
쿠빙카 전차 박물관은 역사적으로 "기밀"이었던 붉은 군대 장갑차 시험 시설에 위치해 있었다. 박물관에 전시된 대부분의 전시품은 쿠빙카 장갑차 시험 및 검증 기지의 연구 컬렉션에서 파생되었다. 냉전 시대의 대부분의 서방 전차(미국 또는 서유럽)는 중동, 아프리카, 베트남 및 라틴 아메리카에서 얻은 전리품으로, 쿠빙카의 장갑차 시험 시설로 보내져 강점과 약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1] 비밀스러운 역사와 군대와의 긴밀한 관계로 인해 박물관은 오늘날에도 러시아 육군 소속 인력으로 운영된다. 박물관 직원들은 공식적인 군 부대에 소속되어 제복에 특별한 소매 휘장을 착용한다.[1]
1972년경 모스크바 근교 쿠빙카의 장갑 차량 중앙 연구소 시설 내에 보관되어 있던 차량들을 중심으로 박물관이 정비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야외 전시 위주였으나, 1975년 군 격납고를 활용하여 실내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오랫동안 군 관계자 등 일부만 참관할 수 있었으나, 글라스노스트 이후 일반에 공개되었다. 그 전까지 서방에서는 현존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각국의 장갑차량이나, 알려지지 않았던 소련의 시제 전차 등의 존재가 밝혀졌다.
소련 붕괴 후에는 각 차량의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고, 해외 박물관과의 교류를 통해 소장 차량이 더욱 증가했다. 2014년부터 박물관은 패트리엇 군사 테마파크의 일부가 되었다.[2]
2. 1. 제2차 세계 대전
쿠빙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소련군의 기밀 장갑차 시험장이었다. 소련 연구 및 설계국에서 개발된 신형 전차들은 이곳에서 시험을 거쳤다.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이전에는 소련에 판매된 일부 독일 전차들도 쿠빙카에서 시험되었다. 1943년에는 노획된 독일군 티거 I 중전차가 쿠빙카 시험장으로 옮겨져 포격 시험을 받았다. 이를 통해 소련군은 티거 전차의 방어력을 측정하고, 효과적인 대전차 무기를 개발할 수 있었다. 1945년 소련은 만주, 사할린 남부, 쿠릴 열도, 중국 북부, 북한 등지에서 노획한 일본군 전차들도 쿠빙카에서 시험했다.[1]2. 2. 냉전 시대
소련은 쿠빙카 무력 기술 센터를 통해 잠재적, 미래 전차 설계를 위한 기술 평가 및 시험을 진행했으며, 관련 정보는 국방 시스템에 제공되었다.[5] 현재 쿠빙카 전차 박물관에는 냉전 시대에 해외에서 획득한 50대 이상의 전차 및 기타 장갑 전투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5] 이 차량들은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중동 전쟁 등 다양한 분쟁 지역에서 노획된 것이다.전차/차량 | 획득 경로 |
---|---|
M24 채피 경전차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참전 프랑스 식민지군 |
M41 워커 불독 경전차 | 1960년대 초 또는 1970년대 초 쿠빙카 무력 기술 센터로 보내짐 |
M48 패튼 중형 전차 | |
M60 패튼 주력 전차(MBT) | 1982년 시리아가 이스라엘로부터 노획하여 소련에 기증 |
M26 퍼싱, M46 패튼 중형 전차 | 한국 전쟁 중 중국 인민지원군 (PVA)이 노획 |
M113 장갑차 (APC) | 베트남 전쟁 중 북베트남이 노획 |
센츄리온 MBT | |
컨커러 중전차 | |
치프틴 Mk.5 MBT, FV101 스콜피온 경전차 | 이란-이라크 전쟁 중 이라크에 의해 소련으로 보내짐 |
IDF M51 슈퍼 셔먼 중형 전차 | 이집트 또는 시리아에 의해 노획되어 소련으로 보내짐 |
AMX-13/75 경전차 | 1950년대와 1960년대 알제리 전쟁 이후 알제리에서 받음 |
파나르 AML 장갑 정찰 차량, 엘란드 | |
Stridsvagn 103 (S-Tank) 수륙 양용 주력 전차 |
2. 3. 설립과 발전
1972년경 모스크바 근교 쿠빙카의 장갑 차량 중앙 연구소 시설 내에 보관되어 있던 차량들을 중심으로 박물관이 정비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야외 전시 위주였으나, 1975년 군 격납고를 활용하여 실내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오랫동안 군 관계자 등 일부만 참관할 수 있었으나, 글라스노스트 이후 일반에 공개되었다. 그 전까지 서방에서는 현존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각국의 장갑차량이나, 알려지지 않았던 소련의 시제 전차 등의 존재가 밝혀져 서방에 알려지게 되었다.소련 붕괴 후에는 각 차량의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고, 해외 박물관과의 교류를 통해 소장 차량이 더욱 증가했다.
3. 전시
쿠빙카 전차 박물관의 전시품은 7개의 전시관과 일부 야외 전시 공간에 나뉘어 보관되어 있다. 각 전시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
전시관 | 내용 |
---|---|
제1동 | 소련·러시아군 중전차 |
제2동 | 소련·러시아군 중전차 및 MBT |
제3동 | 소련·러시아군 경전차, 공수 차량, 장갑 수송차 등 |
제4동 | 소련·러시아군 장륜 차량 |
제5동 | 미국, 영국군 차량 |
제6동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차량 |
제7동 | 기타 국가(프랑스, 일본, 체코, 폴란드, 헝가리, 중국 등) 차량 |
주요 전시품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초중전차 마우스, 카를 자주 박격포, 33B 돌격 보병포, VK3001(H) 12.8cm 자주포, 미넨로이머, 개발 경위 및 사용 목적이 불분명한 쿠겔판처(구형 전차) 등이 있다.[1]
또한, 일본 해군의 특2식 내화정, 소련의 핵전쟁 상황을 가정한 시제 중전차 오브예크트 279, 미사일 전차 IT-1, 중전차 IS-4, IS-7 등 희귀 차량들도 다수 전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일류신 Il-2 비행기 잔해,[4] 대전차포, V-2-34 엔진 단면 모형 등 다양한 전시품들이 있다.
4. 관람 정보
쿠빙카 전차 박물관은 모든 방문객에게 개방되어 있다. 입장료는 관람 구역에 따라 다르며, 영어 가이드 투어는 별도의 요금이 부과된다. 6세 미만 어린이는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사진 및 비디오 촬영은 입장료에 포함되어 있다. 외국인은 여권 사본과 원본을 지참하는 것이 좋다. 쿠빈카 군사 기지 내에 위치하므로 무기와 주류는 반입이 금지되며, 입구에서 금속 탐지기 검사를 실시한다.[3]
구분 | 입장료 (2017년 기준) |
---|---|
일반 | 300RUB~500RUB (4USD~7USD) |
영어 가이드 투어 | 각 부지당 4500RUB (60USD)부터 |
4. 1. 입장 및 제한 사항
2017년 현재, 박물관은 모든 방문객에게 개방되어 있다. 입장료는 부지 특정 부분에 따라 300RUB~500RUB이다. 영어 가이드 투어는 더 비싸며, 각 부지당 4500RUB부터 시작한다. 6세 미만 어린이는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모든 차량의 촬영 및 녹화 허가는 입장료에 포함되어 있다. 외국인 시민은 박물관 입장을 위해 여권 사본과 원본을 소지하는 것이 좋다. 쿠빈카 군사 기지의 일부이므로 무기와 알코올은 엄격히 금지되며, 입구에서 보안 요원이 금속 탐지기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한다.[3]과거에는 외국인의 경우 입장을 위해 10일 이상 전에 신청이 필요했으나, 2015년 현재는 사전 신청 없이 촬영료 포함 입장료 1200RUB(휴일은 1500RUB)을 지불하는 것만으로 허가된다. 이 경우 가이드는 붙지 않지만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
4. 2. 접근성
모스크바 외곽에 위치한 쿠빙카는 모스크바 벨로루스키 역에서 교외 열차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쿠빙카(Кубинке) 역에서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하며, 돌아갈 때도 30분 간격으로 버스가 운행된다. 과거에는 외국인이 입장하려면 10일 이상 전에 신청해야 했으나, 2015년 현재는 사전 신청 없이 촬영료를 포함하여 1200루블(휴일은 1500루블)을 지불하면 허가된다. 이 경우 가이드는 없지만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5. 한국과의 관계
한국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이 노획하여 소련에 넘긴 미국제 M26 퍼싱, M46 패튼 전차가 전시되어 있다.[1] 이는 냉전 시기 소련의 대미 전차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paris1814.com
http://paris1814.com[...]
[2]
웹사이트
Patriot park Moscow {{!}} Tank museum Patriot park Moscow
http://tankmuseum.ru[...]
2021-07-27
[3]
웹사이트
Kubinka tank museum
http://tankmuseum.ru[...]
2016-09-24
[4]
웹사이트
Aerial Visuals - Airframe Dossier - Ilyushin Il-2, c/n 7826
https://aerialvisual[...]
2023-05-11
[5]
웹사이트
Kubinka NIIBT Research Collection – Foreign Vehicles, Kubinka, Moscow oblast, Russia
http://preservedtank[...]
2016-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